뉴스버스, 한겨레신문 등 주요 언론은 8월 5일 검찰이 ‘윤석열 검사의 부산저축은행 비리 부실수사 의혹’을 보도한 뉴스버스 뉴스타파 경향신문 등을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수사하면서 무차별적이고 무분별한 수 천건의 통신자료조회를 남발해 사찰 논란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자료 조회 대상에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추미애 민주당 의원 등 야당 거물급 인사들까지 상당수 포함돼 향후 정치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통신조회가 유행인 모양인데, 제 통신기록도...”라고 통신조회 당한 사실을 알렸다. 추 의원도 검찰에서 문자메시지로 전달된 통신정보제공사실통지를 올리고 “정치 검찰의 사찰이 도를 넘었다”고 지적했다.
뉴스버스 보도 등을 종합해보면, 통신자료(통신이용자 정보)를 제공받은 곳은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인데, 반부패수사 1부는 지난해 9월부터 뉴스버스 뉴스타파 경향신문 등의 ‘윤석열 검사, 부산저축은행 부실수사 의혹’ 보도가 ‘윤 대통령 명예훼손’이라며 거의 1년째 수사를 이어오고 있는 곳이다.
검찰은 공문으로 통신사 등에 통신이용자 정보 조회를 요청하는데, 현재까지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의 무차별 통신자료 조회와 관련된 공문은 문서번호가 2024-87, 2024-116, 2024-117 등으로 기재된 3건으로 파악됐다. 문서번호 2024-87은 지난 1월 4일에, 나머지 문서번호 2건은 1월 5일에 각각 통신자료가 제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공문 하나에 몇건의 통신자료 조회가 포함됐는지 정확히 집계되지는 않았으나, 검찰은 엑셀 파일로 수백건 이상씩의 전화번호를 공문 하나에 포함시켜 무차별적이고 무더기로 통신사에 통신자료를 조회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