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용현, 계엄 해제 의결 뒤 ‘윤석열 옆’에서 노상원과 통화

by avo1 2025. 3. 3.
반응형

한겨레는 12·3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있던 자리에서 ‘비상계엄 비선 기획자’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과 통화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두 사람의 통화가 이뤄진 시기는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결의안이 통과된 뒤로, 김 전 장관과 윤 대통령,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계엄사령관) 등 3명만 합동참모본부 내 별도 보안시설인 ‘결심지원실’에 머물 때였다. 이 때문에 윤 대통령 역시 노 전 사령관의 존재를 알았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3일 한겨레 취재 결과,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는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결의안 의결 이후인 4일 새벽 1시38분~43분 사이 김 전 장관과 노 전 사령관이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 김 전 장관은 4일 새벽 1시38분께 노 전 사령관에게 전화해 2초가량 통화했고, 이후 바로 노 전 사령관이 전화를 다시 걸어 1분14초간 통화했다. 이 전화가 끝난 뒤 노 전 사령관은 1시41분께 김 전 장관에게 다시 전화했고 통화는 2분12초간 이어졌다. 김 전 장관은 윤 대통령이 결심지원실을 떠난 같은날 새벽 2시33분에도 노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2분3초 동안 대화했다.

이들 통화가 이뤄진 시기는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결의안 통과 이후 윤 대통령이 합참을 찾아 김 전 장관 등과 이후 대책 등을 논의하던 시기다. 검찰의 합참 내부 시시티브이(CCTV) 분석 결과와 김철진 국방부 군사보좌관 등의 진술을 종합하면, 윤 대통령은 4일 새벽 1시16분부터 1시47분까지 합참 지하에 있는 결심지원실에 30분가량 머물렀다. 김 전 장관이 윤 대통령과 함께 있을 때 노 전 사령관과 통화했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