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문 매각? 일본 정부 공식 요구? 한국 정부도 협조?
네이버가 결국 일본 정부의 압박에 일본의 국민 소셜미디어(SNS) 라인야후 지분을 소프트뱅크에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라인야후의 실적 발표자리에서 라인야후 이데자와 다케시 최고경영자(CEO)는 "대주주인 위탁처(네이버)에 자본의 변경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에 따라 네이버에 지분을 매각해달라고 공식 요구했다는 것이다.
이데자와 CEO는 네이버와의 관계를 앞으로 어떻게 가져 갈 인지 방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위탁 관계 종료가 기본"이라고 반복하면서 "(네이버와는) 사업면에서도 매우 희박한 관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언론 민들레 보도에 따르면,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도 8일 열린 2023년도 실적발표에서 “네이버에 위탁한 기술을 순차적으로 종료할 것”이라며 “대주주인 위탁처(네이버)에 자본의 변경을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와 함께 ‘라인’을 만든 신중호 라인야후 최고상품책임자(CPO)도 사내이사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이로써 라인야후 이사회는 전원 일본인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 ‘IT 공정과 정의를 위한 시민연대’ 준비위원회는 7일 이번 라인야후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으면 ‘제2의 독도 사태’로 비화할 수도 있다며 국가적 전담팀(TF)을 통해 대응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관련기사 참조:
그 와중에 이런 일도 있었다고 한다. 조선일보 성호철 특파원이 ‘[특파원 리포트] 외교부는 日 언론플레이까지 돕나’라는 기자칼럼을 통해 일본 총무성과의 전화기자회견 관련된 일을 소개했다. 성 기자는 “서글펐던 대목은 일본 총무성의 무례한 대응만이 아니다. 주일 한국대사관에 물어보니, ‘한국 내 반일 여론이 드세니 전화로라도 한국 언론에 오해라고 말해달라’고 총무성에 요청한 게 한국 정부였다는 것이다. 도쿄특파원단이 거절했을 때 서울의 한 언론사를 섭외해 연결한 것도 한국 외교부였다. 한국 관료들은 ‘한일 관계 개선이란 윤석열 대통령의 치적이 사라질까’ 전전긍긍했고 일본 총무성은 담당 과장의 통화 한 통으로 ‘우방국의 요청을 수용했다”고 생색냈을 터다“라고 한탄했다.
2.미-일 반도체 업체 합병에 한국 정부가 SK 협조 요청?
반도체 대기업인 일본의 키옥시아(옛 도시바메모리)와 미국 웨스턴디지털(WD)이 에스케이(SK)하이닉스의 반대로 중단됐던 두 회사 합병 협상을 오는 4월에 재개할 것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두 회사의 합병을 위한 ‘에스케이 설득’에 윤석열 정부도 나선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 예상된다.
한겨레 신문은 지난 2월 29일 <아사히 “미-일 반도체 회사 합병시키려 윤 정부도 SK에 요청”>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일본 아사히 기사를 인용해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합병 협상 전말을 전했다. 이 기사에서 아사히신문은 23일 관계자를 인용해 “웨스턴디지털 쪽이 내부자 거래 방지 문제로 협상 재개를 위해선 일정 (휴지) 기간을 둬야 한다. 이 기간이 끝나는 4월 말에 (키옥시아와) 협상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지난해 가을 (합병 협상이) 일단 결렬됐지만, 두 회사 모두 생존을 위한 규모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5분기 연속 적자를 낸 키옥시아는 회사 재건을 위해 웨스턴디지털과 합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 정부도 반도체 분야에서 미·일 협력의 ‘상징’으로 생각해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다. 최대주주인 미국 투자펀드 베인캐피털도 투자금 회수를 위해 업계 재편으로 기업가치를 올린 뒤, 매각 등을 통한 최대 수익 확보를 노리고 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지난 2018년 베인캐피털 등이 참여한 한·미·일 연합 컨소시엄을 통해 키옥시아에 약 4조원을 간접 투자한 상태여서, 지분 매각 등에 대해선 의견을 낼 권한이 있다.
일본과 베인캐피털 쪽에선 합병에 반대하는 에스케이하이닉스를 설득하는 것이 최대 과제가 됐다. 합병 협상이 중단된 지난해 가을 이후에도 에스케이하이닉스와 물밑 협상을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신문은 “이달 초 에스케이그룹 최태원 회장이 일본으로 왔다. 급하게 일본 방문을 통보받은 경제산업성이 서둘러 면담을 추진했다”며 “일본 국회 회기 중이라 경제산업상(장관) 대신 사무차관(차관)이 만났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찬반을 뚜렷하게 밝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경제산업성 간부는 이 신문에 “최 회장과 만났다는 점에선 진일보다. 하지만 지난해 가을 시점과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