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전 주호주대사가 부임 11일 만에 귀국해 참석했던 '방위산업협력 공관장 회의'에 얼마나 썼을까? 한국일보가 관련 보도를 냈다. JTBS가 이를 인용해 추가보도를 했다.
정답은 7,000만원이다.
한국일보 보도에 따르면, 5월 8일 위성락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실이 양기대 의원실을 통해 받은 외교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25~29일 방산협력 6개국 공관장 회의에는 ▲여비 6,500만 원 ▲임차료 348만 원 ▲일반수용비 140만 원 ▲업무추진비 185만 원 등 총 7,150만 원가량의 예산이 집행됐다. 여기에 일부 공관에서 요청한 소요경비(항공운임) 집행 비용도 정산되는 중이라, 지출된 전체 예산은 더 늘어날 예정이다. 이 전 대사는 회의를 5일 앞두고 귀국했는데, '공무 수행 목적'을 이유로 항공료와 숙박비 일체를 지원 받았다.
이어 같은 기사에서 “회의 급조 정황은 2024년 예산안에서도 엿볼 수 있다. 당시 회의를 준비한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에 배정된 예산 4억4,000만 원 중 기타 운영을 위해 배정된 건 4,700만 원에 불과했다. 기타 운영 상세 배정 항목에서도 회의 관련 부분은 보이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은 2024년 3월 4일, 이례적으로 주호주 대사로 임명되었다. 3월 6일, MBC의 단독 보도로 공수처가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 수사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과 관련하여 2024년 1월에 이종섭 대사를 포함한 6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출국금지 조치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미 호주 측의 아그레망도 받은 상황에서 해당 사실이 뒤늦게 드러난 것이다. 공수처는 출국금지 기한을 연장해 왔으며, 이에 따라 이 전 장관은 여전히 출국금지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파문이 일자 정부는 급히 이종섭 대사를 귀국시켰으며, 귀국 목적이 '방위산업협력 공관장 회의' 참석 목적이었다. 이대사는 여론 악화에 밀려 다시 호주로 가지 못했다.결국, 2024년 3월 29일 외교부 장관에게 호주대사직의 사의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