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사고 직후 윤석열 대통령이 이 사고가 조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발언을 했다는 김진표 전 국회의장, 박홍근 민주당 전 원내대표의 주장에 대해 주요 신문들이 진보, 보수 가릴 것 없이 사설로 일제히 비판했습니다.
동아일보는 6월 29일자 사설 '尹 이태원 참사 음모른 언급 사실인가' 사설에서 "비극적인 참사의 진상을 밝히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할 대통령이 극우 유튜버들이나 입에 올릴 음모론을 입법부 수장 앞에서 거론했다면 가벼이 넘길 일이 아니다. 참사 직후부터 언론의 취재를 통해 경찰과 구청이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을 예상하고도 사전에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않았고, 압사를 우려하는 10여 차례의 112 신고 전화가 묵살된 사실이 줄줄이 드러났다. 여기에 음모론이 끼어들 데가 어디 있나."라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일보는 같은 날 '尹 대통령, '신뢰' 회복 없이 국정 동력 찾을 수 없다' 사설에서 "대통령실은 즉각 “왜곡”이라고 반박했지만, 만에 하나 참사의 도의적·정치적 책임이 있는 국정 최고책임자가 음모나 조작의 산물로 사태를 인식했다면 말문이 막힐 일이다. 야당 측은 그 무렵 김 전 의장의 후일담을 직접 들었다며 대통령의 여러 발언들을 추가 공개하고 있다. 온 국민이 아파한 참사를 앞에 두고 대통령이 기이한 생각에 빠져 있었다면, 유족과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닐뿐더러 국정파악 과정 전반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극우 유튜브를 그만 보시라”는 전직 여당 의원의 호소가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한겨레는 '“이태원 참사 조작 가능성” 발언 논란, 윤 대통령 직접 해명해야' 사설에서 "국회의장을 지낸 원로 정치인이 대통령이 하지도 않은 말을 지어내 책에다 썼다고 보긴 힘들다. “김 의장한테서 해당 내용을 들었다”며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시 메모까지 공개한 상황이다. 그중엔 ‘대규모 인파가 모인 건 좌파 언론의 유도 때문이다’, ‘특정 세력이나 인사에 의한 범죄성 사건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는 김 전 의장의 전언 내용이 추가로 들어 있다. 당시 극우 유튜브 채널에서 아무런 근거 없이 마구잡이로 틀어대던 주장을 대통령이 고스란히 반복했다는 것인가."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