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 '사도광산 등재'에 결정적 기여한 한국 정부

by avo1 2024. 7. 29.
반응형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7월 28일 한국이 강제노동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데 일본 정부와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요미우리신문은 28일 “사도광산 등재를 두고 한·일 양국 정부가 한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노동자와 관련해 현지 전시시설에서 ‘강제노동’ 문구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당시의 생활상 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사전에 의견을 모았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일이 내년 국교 정상화 60년을 앞두고 관계 개선이 진행되고 있어, 양 정부 관계자에게는 새로운 불씨를 만들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작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한겨레는 세계유산 등재는 관례상 한·일 등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의 전원 동의 방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조선인 강제동원’이라는 현안이 걸린 한국 정부의 찬성이 사도광산 등재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지난달 사도광산과 관련해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고 권고하며 ‘보류’를 결정해 양국 협상에서 한국이 우위를 잡고 있었다.

 

경향신문은 <'강제동원’ 빠진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정부 제정신인가>제목의 사설에서 " 윤석열 정부는 강제동원 제3자 변제안 등으로 일본의 과거사 책임에 면죄부를 줬다. 일본군 위안부, 독도 등을 둘러싼 망언이 거듭돼도 ‘성의 있는 조치’만 되뇌고 있다. 그러니 일본은 점점 안하무인이다. 일본이 퇴행적 역사 인식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한·일관계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미래세대에 부담만 줄 이런 식의 관계 개선은 국민들이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도대체 정부가 제정신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