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국혁신당, 7공화국 헌법 개정 제안...7개 항목 제시

by avo1 2024. 5. 17.
반응형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517“22대 국회에 개헌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제7공화국 헌법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기자회견 중인 조국 혁신당 조국 대표(출처:MBC 화면 갈무리)

 

이번 개정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 7가지 항목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마민주항쟁,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헌법 전문 수록

    (관련된 글: 조국혁신당, 7공화국 헌법 개정 제안...7개 항목 제시)

 

2. ‘수도는 법률로 정한다는 조항 신설

   현재 헌법에는 관련 조항이 없음. (관련 기사: 행정수도 이전, 16년 전 “관습헌법” 결정…여야 합의로는 못 바꾼다)

 

행정수도 이전, 16년 전 “관습헌법” 결정…여야 합의로는 못 바꾼다

1. 여야가 합의하면 행정수도 이전 가능?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행정수도 관련 법률을 제정 또는 개정하는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면 관습헌법을 앞...

www.khan.co.kr

 

 

3. 대통령 5년 단임제를 4년 중임제로 변경

4. 검사의 영장 신청권 삭제

    (관련 기사:검사의 영장신청권’, 헌법에 어떻게 들어갔나)

 

‘검사의 영장신청권’, 헌법에 어떻게 들어갔나

“영장신청권은 ‘검사’에 부여된 헌법상 권한이지만 이를 바탕으로 헌법이 수사권을 (검찰법상) 검사에게 부여한 것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 (다수의견) “검사의 영장신청에 관해 규정한

www.hani.co.kr

 

5.‘사회권강화하는 일반 조항 신설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제34조 ①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② 국가는 사회보장ㆍ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③ 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④ 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 관련 글: 심층분석: 사회권 보장 대한민국 헌법에 묻는다)

 

6.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수준 임금 명문화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제33조 ① 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②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ㆍ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③ 법률이 정하는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제한하거나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관련 글: [특집] 왜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인가)

 

7. 토지공개념 강화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제122조국가는 국민 모두의 생산 및 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의 효율적이고 균형있는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에 관한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 / 관련 글: ‘토지공개념’ 헌법 명시, 투기 막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