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패스트트랙 공소 취하 청탁' 어떤 처벌 해당되나

by gambaru 2024. 7. 19.
반응형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이른바 패스트트랙 사건 공소 취하 청탁의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당대표 선거 과열을 우려하는 국민의힘 내부에서 이런저런 비판이 나오고 이 사실을 밝힌 한동훈 후보도 사과의 뜻을 표시하는 등 수습 움직임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국민의힘의 움직임과는 별개로 이 사실이 공개된 이상 누군가는 이 청탁 행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패스트트랙 사건 피의자로 청탁을 한 나경원 후보와 법무부 장관 때 청탁을 받은 한동훈 후보 모두 청탁 사실 자체는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엄연한 위법 행위입니다. 어떤 법률에 저촉될까요. 흔히 청탁금지법 또는 김영란법이라고 부르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위반입니다. 아래는 이 사건에 해당하는 청탁금지법 조항입니다.

 

제2장 부정청탁의 금지 등
제5조(부정청탁의 금지) ①누구든지 직접 또는 제3자를 통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공직자등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부정청탁을 해서는 아니 된다.
14. 사건의 수사ㆍ재판ㆍ심판ㆍ결정ㆍ조정ㆍ중재ㆍ화해, 형의 집행, 수용자의 지도ㆍ처우ㆍ계호 또는 이에 준하는 업무를 법령을 위반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행위

 

나경원 의원의 공소 취하 청탁은 이 법 제5조 14호 위반입니다. 권익위가 낸 청탁금지법 판례집을 보면 청탁금지와 관련해서는 주로 채용, 인사 청탁이 적발되어 수백 만 원에서 천 만 원 정도의 벌금을 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검찰의 수사 및 향후 재판 제기와 관련된 청탁은 이 판례집에 없는 걸로 봐서 매우 드문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당한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이 그 지위를 이용해 사법 절차에 개입하려 한 것은 기업이나 학교의 채용, 승진 인사 청탁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중한 사안입니다. 그리고 청탁금지법은 부정한 청탁일 경우 받아들여지지 않아도 처벌됩니다. 청탁을 한 것만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청탁을 받고 자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 한동훈 후보는 아무 죄가 없을까요. 이 경우는 사실 관계를 조금 더 따져봐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7조(부정청탁의 신고 및 처리) ①공직자등은 부정청탁을 받았을 때에는 부정청탁을 한 자에게 부정청탁임을 알리고 이를 거절하는 의사를 명확히 표시하여야 한다.
②공직자등은 제1항에 따른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부정청탁을 다시 받은 경우에는 이를 소속기관장에게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한다.
③제2항에 따른 신고를 받은 소속기관장은 신고의 경위ㆍ취지ㆍ내용ㆍ증거자료 등을 조사하여 신고 내용이 부정청탁에 해당하는지를 신속하게 확인하여야 한다.

 

한 후보가 공소 취하 청탁을 받았을 때 나 의원에게 부정청탁임을 알리고 거절하는 의사를 명확히 표시했느냐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그 또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나 의원의 이 청탁이 한 번이 아니라 두 차례 이상이라면 한 후보는 이 사실을 소속기관장(법무부 장관이었으니 직제상으로는 국무총리나 대통령)에게 서면으로 신고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면 이 또한 위법입니다. 어쨌거나 이런 점을 확인하기 위해 수사가 불가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