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는 지난 11일 2025학년도 서울대학교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주로 특목고 학생들이 지원하는 학종 일반전형은 역사교육과 경쟁률이 6명 모집에 64명이 원서를 내 10.67:1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범위를 사범대 전체로 넓히면, 123명 모집에 지원자가 총 1268명으로 10.31: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작년의 경우 같은 모집정원에 1380명이 원서를 접수해 11.22:1의 경쟁률을 나타낸 바 있다. 크게 보면 일반전형은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일반고 내신성적 최상위 학생들이 주로 원서를 내는 학종 지역균형전형(아래 지균)은 사정이 달라졌다. 지균 추천 대상인 일반고 인문계열 1등 학생들이 역사교육과를 외면한 것이다. 5명 모집에 딱 5명이 지원하여 경쟁률이 1:1에 머물렀다. 작년에는 15명이 지원해 3:1이었다. 역시 범위를 사범대 전체로 넓히면, 올해는 59명 모집에 147명만 지원해 경쟁률이 2.49대에 그쳤다. 작년의 경우 같은 모집정원에 243명이 원서를 접수해 4.12:1을 기록한 바 있다.
서울대 지균은 학교별로 2명까지 지원할 수 있다. 학교마다 사정은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은 인문·자연계열 내신성적 전교 1등이 지원한다. 지균은 1단계에서 서류(학생부) 100%로 3배수를 추려 2단계 면접전형을 실시하고, 1·2단계 점수를 합산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역사교육과는 올해 경쟁률이 1:1 단수이므로 '수능 3개 영역 합 7 이내'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면 5명 모두 합격이 가능하지만, 예년 사례를 볼 때 그중 일부는 최저학력기준을 맞추지 못해 불합격할 수 있다.
서울대 지균 역사교육과 경쟁률이 (최저학력기준 미충족 학생이 생겨날 가능성이 크므로) 사실상 미달이나 다름없는 1:1에 그쳤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학교 현장은 적잖이 술렁였다고 오마이뉴스는 보도했다. 교사들은 "어느 정도 예상한 일이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최근에 불거진 건국절 논란이 부정적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반응까지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