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57 신지호 국힘 부총장, “김 여사는 왜 국민들한테는 사과 제대로 안 하느냐" 경향신문은 친한동훈(친한)계 신지호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이 16일 김건희 여사가 메신저 대화에서 공천개입 의혹 핵심인물인 명태균씨에게 사과하는 내용이 전날 공개된 것을 두고 “김 여사는 명씨한테는 사과를 잘하는데 왜 국민들한테는 사과를 제대로 안 하느냐”는 택시 기사의 말을 전하며 비판했다고 보도했다. 신 부총장은 이날 채널A 유튜브에서 “(김 여사가) 명태균인가 뭔가 하는 사람한테 바로 굽신굽신 하면서 ‘사과드릴게요’ 하면서 왜 국민들한테는 아직까지 제대로 된 사과 한마디 없느냐 이 얘기”라며 이같이 전했다. 신 부총장은 김 여사가 명씨와의 메신저 대화에서 언급한 ‘오빠’가 윤석열 대통령이 아닌 ‘친오빠’라는 대통령실 해명이 맞을 수 있다면서도 친오빠가 개입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가 들은.. 2024. 10. 16. 주목받는 조선일보 칼럼, "나라인가, 아내인가" 조선일보가 이런 칼럼을 실었다. 심상치 않다. https://www.chosun.com/opinion/chosun_column/2024/10/16/YGN6HZXGLBAZ5M6XXYUGWQKZG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朝鮮칼럼] 나라인가, 아내인가朝鮮칼럼 나라인가, 아내인가 공민왕은 애민 군주였지만 노국 공주 떠난 뒤 자제력 잃어 태조 이성계의 세자 선택도 신덕왕후 때문에 정당성 잃어 통치자는 개인 초월한 존재 나라 위해서 때론www.chosun.com 2024. 10. 16. 민주당, " 오늘의 대한민국이 김건희 천하임을 확인" 10월 15일 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김건희 여사와 연관된 논란과 관련하여 성명서를 발표했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이다. 대통령실의 입장 표명은 오늘의 대한민국이 김건희 천하임을 확인시켜 줄 뿐입니다 대통령실이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의 김건희 라인 축출 요구를 전면 거부했습니다. 심지어 “대통령실의 라인은 오직 대통령 라인만 있을 뿐”이라며 김건희 라인의 존재마저 부정했습니다. 구체적 직함과 그들이 벌인 작태까지 언론을 통해 상세히 보도되고 있는데 김건희 여사의 비선 라인이 없다니 참으로 뻔뻔합니다. 대통령실이 부인하면 부인할수록 김건희 여사와 그 비선 실세들의 국정농단, 권력농단 의혹만 짙어질 뿐입니다. 아니면 김건희 여사가 실질적인 대통령이니 김건희 라인이 아니라 대통령 라인이라고 부르는 것입니까? 국민.. 2024. 10. 15. 충격! 명태균, '김건희 카톡 문자' 공개 여권 공천개입으로 떠뜰썩한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의 당사자인 명태균씨가 자신의 페이스북에김건희 여사와 오갔던 카카오톡 문자를 일부 공개했다. 공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24. 10. 15. [왜? 짜장]대리 입대해 3개월 군생활 경향신문은 일반 장병의 월급을 나눠 갖기로 하고 타인 신분으로 대신 입대한 20대가 적발돼 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했다.1970년 병무청 설립 이래 대리 입영이 실제 이뤄진 사례가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춘천지검 형사2부는 최근 병역법 위반·위계공무집행방해·주민등록법 위반 등의 혐의로 20대 A씨를 구속기소 했다고 14일 밝혔다. A씨는 원래 입대해야 할 20대 B씨와 공모해 군인 월급을 나눠 갖기로 하고,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대리 입영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사 결과 A씨는 지난 7월 B씨의 신분증을 들고 강원 홍천의 한 신병교육대에 입소했다. 군 입영 절차에 따라 병무청 직원이 장병을 인도·인접하는 과정에서 신분증을 확인했으나 입영자가 바뀐 사실을 적발하지 못했다.A씨와 B씨는 인터넷을 통해 접.. 2024. 10. 15. 헌재 보고서, "대통령 거부권 사용, 정당한 사유와 필요성 기반으로 해야" 시민언론 민들레>는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이 13일 공개한 연구 보고서에는 대통령이 거부권을 사용할 때 정당한 사유와 필요성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대통령이 자신의 정책 방향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국회의 입법권이 침해돼 권력 분립 원칙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연구원은 헌재 산하 기관으로, 향후 헌법재판으로 다뤄질 수 있는 쟁점을 미리 연구해 헌재의 판단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보고서를 집필한 장효훈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은 헌법에서 '거부권 행사 요건'을 명시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헌법 제53조 제2항은 "법률안에 이의가 있을 때 대통령은 기간내에 이의서를 붙여 국회로 환부하고, 그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국회의 폐회 중에도 같다"고.. 2024. 10. 15.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2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