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57

'중일마' 논란 김태효 안보실 차장 발언 모음 김태효 대통령실 안보실 제1차장이 광복절 다음날인 16일 KBS와 인터뷰에서 일본이 진정으로 사과할 마음이 없는데 다그쳐봐야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라는 취지로 발언해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두고 '중요한 것은 일본 마음(중일마)'라는 유행어까지 생겨났습니다. 새 정부 들어서고 2년 반 동안 안보실장이 4명이나 교체되는 동안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김 차장의 과거 논란 발언과 글을 모아봤습니다.2024년 8월 16일 KBS 출연 인터뷰앵커 "한일 문제에 대해 여쭤보겠습니다. 대통령 경축사에서 과거사를 언급하지 않아서 일본 언론들이 이례적이다, 이렇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라인야후 사태도 있었고요. 최근엔 사도광산 논란까지 있었는데, 일각에서 우리 정부가 일본에 대해서 할 말을 못하고 있다 .. 2024. 8. 20.
"정년 65세로 늘리는 고용법 개정안 발의" 법정 퇴직 연령을 65세로 단계적으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법안이 8월 20일 발의된다고 합니다.세계일보 보도에 따르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은 "60세인 정년을 2033년까지 65세로 올리는 고령자고용법 개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개정안은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퇴직 연령 간 차이를 줄여 소득 공백에 따른 노인 빈곤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취지입니다.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지난해 62세에서 63세로 늦춰졌고 2028년에는 64세, 2033년에는 65세가 됩니다. 이번 개정안 부칙에는 법 시행일로부터 정년을 2027년까지는 63세로, 2028년부터 2032년까지는 64세로, 2023년부터는 65세로 단계적으로 올리는 계획을 담았다고 합니다.민주당은 지난 총선에.. 2024. 8. 19.
[왜, 짜장] 2024년 광복절 특별사면 정치·경제인은 누구 2024. 8. 19.
꼴찌 강선우 민주당 후보의 감동 연설...평범한 사람을 위한 변명 [제가 꿈꿨던 기적은 최고위원이 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하면 강선우가 첫 번째인데, 기사에는 등수로 나오니까 맨날 꼴찌입니다. 그래도 좋습니다. 저 8위 강선우 누구만큼 안정권입니까? 우리 이재명 대표님만큼 안정권입니다. ​긍정의 아이콘 최고위원 후보, 기호 2번입니다. 강선우, 우리 당원 동지 여러분께 힘차게 인사 올립니다. ​영상에서 보신 마라토너는 1968년 멕시코 올림픽에 참가한 탄자니아 '존 스티븐 아크와리'라는 선수입니다. 이 선수는 생전 처음 해발 2천 미터라는 곳에서 마라톤을 해봅니다. 경기 초반에 위치 싸움을 하다가 아주 심하게 다칩니다. 아크와리는 본인이 꼴찌를 하지 않을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달립니다. 57명 중 57등으로 결승선을 들.. 2024. 8. 19.
김어준 "정봉주는 당원이 생각하는 시대과제에 미달" 정봉주 전 의원과 과거 '나는 꼼수다' 활동을 같이 했던 김어준은 8월 19일 뉴스공장에서 정 전 의원의 민주당 최고위원 낙선과 관련해 "16년이면 잊힐만도 한데 그 긴세월을 (민주당 지지자들이)기억해 준 거"라면서 "그래서 품어주고 1위도 만들어주기도 하는 집단지성이지만은, 기자회견부터 그 이후의 (정 전 의원의)대응은 지금 당원들이 요구하는 기준에 미달하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어준은 "권리당원 무서운 줄 알아야 된다"며 "그 눈높이에 맞지 않으면 그리고 그 당원이들이 생각하는 시대 과제에 미달하면 가차없다"고 말했습니다. 아래 발언 내용입니다.  "16년간이나 원외였거든요. 16년이면 잊힐만도 한데 그 긴 세월을 기억해준거에요. 그래서 품어주고 1위도 만들어주기도 하는 집단지성이지만은, 기자회견.. 2024. 8. 19.
조국,"대통령은 조선총독부 제10대 총독인가" 비판... 조선총독 9명은 누구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15일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이 화제다. “대통령 외교안보 책사인 국가안보실 1차장 김태효씨, ‘자위대가 주권 국가로서의 교전권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에 영원히 있어야 한다는 논리는 대단히 편협하다’ 이럽니다. 그 윗자리 국가안보실장에 앉은 신원식 국방부 장관. ‘대한제국이 존속했다고 일제보다 더 행복했겠냐. 이완용이 매국노였지만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라고 합니다.…일제 밀정 같은 자들을 요직에 임명한 자가 바로 왕초 밀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다시 묻겠습니다. 귀하는 대한민국 20대 대통령입니까. 아니면 조선총독부 제10대 총독입니까.” 이쯤에서 조선총독이 몇 명인지 알아보자. 나무위키가 표로 잘 정리해뒀다. 어두운 역사를 직시하는 차원에서 다시 한번 보도록 하자.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