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9 [왜, 짜장] 2024년 광복절 특별사면 정치·경제인은 누구 2024. 8. 19. 꼴찌 강선우 민주당 후보의 감동 연설...평범한 사람을 위한 변명 [제가 꿈꿨던 기적은 최고위원이 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하면 강선우가 첫 번째인데, 기사에는 등수로 나오니까 맨날 꼴찌입니다. 그래도 좋습니다. 저 8위 강선우 누구만큼 안정권입니까? 우리 이재명 대표님만큼 안정권입니다. 긍정의 아이콘 최고위원 후보, 기호 2번입니다. 강선우, 우리 당원 동지 여러분께 힘차게 인사 올립니다. 영상에서 보신 마라토너는 1968년 멕시코 올림픽에 참가한 탄자니아 '존 스티븐 아크와리'라는 선수입니다. 이 선수는 생전 처음 해발 2천 미터라는 곳에서 마라톤을 해봅니다. 경기 초반에 위치 싸움을 하다가 아주 심하게 다칩니다. 아크와리는 본인이 꼴찌를 하지 않을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달립니다. 57명 중 57등으로 결승선을 들.. 2024. 8. 19. 김어준 "정봉주는 당원이 생각하는 시대과제에 미달" 정봉주 전 의원과 과거 '나는 꼼수다' 활동을 같이 했던 김어준은 8월 19일 뉴스공장에서 정 전 의원의 민주당 최고위원 낙선과 관련해 "16년이면 잊힐만도 한데 그 긴세월을 (민주당 지지자들이)기억해 준 거"라면서 "그래서 품어주고 1위도 만들어주기도 하는 집단지성이지만은, 기자회견부터 그 이후의 (정 전 의원의)대응은 지금 당원들이 요구하는 기준에 미달하는 거"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어준은 "권리당원 무서운 줄 알아야 된다"며 "그 눈높이에 맞지 않으면 그리고 그 당원이들이 생각하는 시대 과제에 미달하면 가차없다"고 말했습니다. 아래 발언 내용입니다. "16년간이나 원외였거든요. 16년이면 잊힐만도 한데 그 긴 세월을 기억해준거에요. 그래서 품어주고 1위도 만들어주기도 하는 집단지성이지만은, 기자회견.. 2024. 8. 19. 조국,"대통령은 조선총독부 제10대 총독인가" 비판... 조선총독 9명은 누구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15일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이 화제다. “대통령 외교안보 책사인 국가안보실 1차장 김태효씨, ‘자위대가 주권 국가로서의 교전권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에 영원히 있어야 한다는 논리는 대단히 편협하다’ 이럽니다. 그 윗자리 국가안보실장에 앉은 신원식 국방부 장관. ‘대한제국이 존속했다고 일제보다 더 행복했겠냐. 이완용이 매국노였지만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라고 합니다.…일제 밀정 같은 자들을 요직에 임명한 자가 바로 왕초 밀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다시 묻겠습니다. 귀하는 대한민국 20대 대통령입니까. 아니면 조선총독부 제10대 총독입니까.” 이쯤에서 조선총독이 몇 명인지 알아보자. 나무위키가 표로 잘 정리해뒀다. 어두운 역사를 직시하는 차원에서 다시 한번 보도록 하자. 2024. 8. 19. "중요한 건 일본의 마음", 대통령실 본심 드러낸 건가 김태효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1차장은 8월 16일 ‘KBS뉴스라인W’에 출연해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이 고개 돌리고 필요한 말을 하지 않으면 거기에 대해 엄중하게 따지고 변화를 시도해야겠지만 중요한 건 일본의 마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마음이 없는 사람을 다그쳐서 억지로 사과를 받아낼 때 ‘그것이 과연 진정한가, 한·일관계 협력에 도움이 되는가’ 생각할 때 지금 기시다 총리와 윤 대통령의 믿음과 신뢰는 상당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8월 19일 당대표 연임 뒤 첫 최고위원 회의에서 “대통령과 대한민국 공직자는 국민들이 뽑은 국민의 대리인이다. 일본 국민 마음을 살필 게 아니라 우리 국민 마음을 살피시길 바란다”며 " 잘못됐다 생각하면 당연히 즉각 엄중한 조처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2024. 8. 19. 서울대 팩트체크센터 운영 중단...8월 18일부터 7년동안 운영해왔던 우리나라 최초인 서울대 팩트체크 서비스가 재정지원 문제로 중단하게 됐다. 오마이뉴스는 여당 압력으로 네이버 재정 지원이 끊긴 지 1년 만이라고 분석했다. 다음은 서울대 팩트체크 센터 공지문이다. 2017년 3월 29일 한국 최초의 팩트체크 플랫폼으로 출범한 SNU팩트체크가 2024년 8월 18일부터 무기한 휴지에 들어갑니다. 플랫폼은 읽기 전용(Read Only)으로 계속 유지됩니다. 비영리 공공 정보 서비스인 SNU팩트체크는 그간 네이버(2017~2023년), 해외공익재단(2023~2024년)의 재정지원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재정지원이 2024년 8월로 끊겨 현재의 활동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국내 주요 언론사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가 협업해 .. 2024. 8. 19.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 2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