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92 야당의 한 수 '국회 청문회' 열린다...증인 안나오면 처벌 [청문회 일정을 잡은 상임위]1.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는 오는 21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등이 참석하는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를 열 예정이다. 증인 명단엔 박성재 법무부 장관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 핵심 관계자들이 포함됐다. 2.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21일 방통위법 개정안에 대한 입법청문회를 열기로 하고 방통위원장, 사무처장, 방송정책국장을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했다. 3. 국회보건복지위원회복지위는 19일 오전 10시부터 열린 전체회의에서 국회법 제65조에 따라 의료계 비상상황.. 2024. 6. 19. 댓글에서 본 행복에 대한 생각들... 유명 유튜버 에서 연세대 심리학과 서은국 교수를 게스트로 '행복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진행했는데, 2부에 올라온 댓글들이다. 행복에 대해 여러 면에서 생각하게 한다. 2024. 6. 19. 권익위 결정 후 '명품백 사건' 진행 상황 1) 6월 14일 은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가 명품 가방 수수 의혹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등을 신고한 참여연대에 ‘조사 종결’을 공식 통지했다고 보도했다. 단 세 문장이 적힌 한 쪽짜리 통지서를 보낸 건데, 참여연대는 “종결 사유를 전혀 알 수 없다”며 “결정문과 회의자료를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2) 6월 17일 은 김건희 여사 명품 가방 수수 의혹을 부실 조사한 뒤 종결 처리했다는 의혹을 받는 국민권익위원원장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됐다고 보도했다. 17일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은 유철환 권익위원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한다고 밝혔다. 사세행 김한메 대표는 “(유 위원장은) 살아있는 권력에 면죄부를 주기 위해 고의적이고 조직적으로 부패방지 업무를.. 2024. 6. 19. 6월 자전거 간이역 탐방열차, 8월 간이역-전통시장 순환열차 운행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철도의 문화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간이역을 활용한 관광열차를 새롭게 출시한다. 간이역은 과거 마을의 관문이자 만남의 장소로, 지역의 역사·환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문화적 가치가 높은 철도자산이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러한 간이역을 활용하여, 6월 22일 ➊자전거 간이역 탐방열차(열차명 : 에코레일) 운행을 개시한다. 이용객들은 서울역·대전역 등에서 관광열차에 자전거를 싣고 영동군 추풍령역으로 이동한 후, 자전거를 타고 영동군의 황간역, 각계역, 심천역 등을 둘러볼 수 있다. 열차구성은 객차 4칸(256석), 카페객차 1칸, 자전거거치 3칸이다. 특히, 1934년에 건축된 심천역은 오래된 목조구조에 현재까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2006년 국가유산청으.. 2024. 6. 19. 전동킥보드 화재 여름에 최다 발생 전동킥보드 화재가 여름철(6월~8월) 175건, 가을철 118건, 봄철 99건, 겨울철 75건 순으로 특히 여름철이 겨울철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이같은 내용의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화재통계를 공개하며 전동킥보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전동킥보드 화재는 총 467건으로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는데, 2023년에는 2019년과 비교해 약 2.5배 증가한 114건의 화재가 발생해 2명이 숨지고 28명이 다쳤다. 전동킥보드 화재 발생 장소별로는 먼저 주거시설(49.7%)이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179건으로 최근 5년 발생한 전동킥보드 화재의 3건 중 1건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2024. 6. 19. 여권 재발급 신청, 국민은행 앱에서도 된다 이제까지 지자체 여권민원실을 직접 방문하거나 온라인 정부24를 통해서만 신청할 수 있었던 여권 재발급 신청이 국민은행 모바일앱(KB스타뱅킹)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외교부는 국정과제인 「디지털서비스 개방」의 일환으로 6월 17일부터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를 행정안전부의 디지털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자여권을 한 번이라도 발급받은 적이 있는 18세 이상 우리 국민은 이제 국민은행 앱을 통해서도 여권 재발급을 신청하고 원하는 시․군․구청 여권민원실에서 여권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국민은행 앱의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는 국민은행 계좌가 없어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권발급 수수료 외에 추가적인 부가수수료는 붙지 않는다. 2024. 6. 18. 이전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