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9

임기훈, '지난해 8월4일 국방부 청사 방문' 사실 확인 한겨레는 7월 14일 취재 결과 임 전 비서관이 지난해 8월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3층을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국방부 청사 3층에는 이종섭 당시 장관의 집무실과 이 장관의 비서실장 역할을 하는 박진희 당시 국방부 군사보좌관의 방, 신범철 당시 국방부 차관의 집무실 등이 위치하고 있었다. 국방비서관이 직접 국방부 청사를 찾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강조했다.임 전 비서관은 앞서 국방부 관계자와 여러차례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 이번 사건에서 대통령실과 국방부를 잇는 ‘핫라인’으로 지목된 바 있는 인물이다. 임 전 비서관은 국방부 청사를 방문한 지난해 8월4일에도 이 전 장관과 오전 9시35분(4초)과 9시42분(17초), 낮 12시17분(36초) 등 세차례 통화했다. 신 전 차관에게도 오전 7.. 2024. 7. 15.
한겨레,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은 임성근 구하기의 배후"가능성 제기 한겨레는 7월 14일 취재 결과, 전직 경호처 간부 ㄴ씨는 6월말 공익제보자 ㄱ변호사와의 통화에서 ‘전직 경호처 사람 등을 만나보니 임 전 사단장 구명의 배후가 김용현 경호처장이라고 한다’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다만 김 처장을 구명 배후로 언급한 근거 등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ㄱ변호사는 이 전 대표의 임 전 사단장 구명 관여 발언 등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알린 인물이다. 이 전 대표와 ㄱ변호사, ㄴ씨는 모두 해병대 출신으로 임 전 사단장과 골프모임 추진 등이 있었던 단체대화방의 멤버이다.ㄴ씨는 경호처 고위공무원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 초기 퇴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실제 임 전 사단장과는 친분이 있는 인물이다. 임 전 사단장은 앞서 구명 의혹을 전.. 2024. 7. 15.
'김건희 댓글팀' 뭐길래, 참여연대 실체 규명 논평 최근 전문이 공개된 '김건희 문자' 중에는 김건희가 자신이 한동훈을 공격하는 댓글팀을 운영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것 같은데 사실이 아니니 오해를 풀라는 취지로 한동훈에게 보낸 내용이 있었습니다. 이후 댓글팀 논란은 이른바 친윤 세력들에 의해 한동훈이, 심지어 법무부장관 시절에 댓글팀을 운영했다는 이슈로 바꿔치기 된 듯한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어쨌든 둘다 사실이라면 엄청난 파장과 문제를 낳을 만한 사안입니다. 이와 관련해 참여연대가 최근 이 두 가지 댓글팀의 실체를 밝히라는 논평을 냈습니다. 아래 내용입니다.[논평] 김건희 · 한동훈 ‘댓글팀’ 의혹 해명하라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법무부 장관 재임 때 자신에 대한 여론을 관리하고 온라인 여론을 조성하는 팀을 따로 꾸려 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 2024. 7. 15.
"한동훈 댓글팀 의혹 관련 네이버 계정 24개 확보" 국민의힘 전당대회 과정에서 논란인 한동훈 댓글팀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 양문석 의원이 관련된 네이버 계정 24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경찰이 수사에 착수할 근거가 생긴 셈이니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됩니다.경기일보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양 의원은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논란이 된 한동훈 후보의 여론조작 의혹과 관련해 네이버 계정 24개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양 의원은 "24개 계정에서 작성된 약 6 만여 개의 댓글을 분석했다"라며 "의심 계정은 한 후보가 법무부 장관으로 취임한 2022년 5월부터 본격적 활동을 시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주요 활동 내용은 한동훈 지지 댓글 작성, 한동훈 관련 네거티브 대응, 정적에 대한 공격이었다"며 "대표적으로 'jo00****' 계정은 20.. 2024. 7. 15.
한국 정부 신뢰도 37.2%, 언론 30% OECD 평균보다 낮아 경제협력개발기구가 2년마다 조사하는 각국 주요 조직의 국민 신뢰도 조사에서 한국 정부는 2년만에 11.6%포인트가 하락한 37.2%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는 OECD 국가 중 조사 대상에 포함된 30개 국가 중 15위로 이들 나라 평균인 39.3%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합니다.한겨레신문 보도에 따르면 OECD가 최근 발표한 각국의 신뢰도 조사에서 한국 정부를 신뢰하지 않거나 신뢰도가 낮다고 부정적으로 답한 한국 국민의 비율은 44.3%에 이르렀습니다. OECD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18개 국가의 평균 감소율인 2.4%포인트에 견줘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직전인 2021년 조사 때 한국의 정부 신뢰도는 OECD 평균(41.4%)보다 7.4%포인트 높았고, 20개 국가 가운데.. 2024. 7. 15.
민주당 최고 위원 예비 경선 통과자 8명 명단 김민석(4선)전현희(3선)이언주(3선)강선우(재선)김병주(재선)한준호(재선)민형배(재선) 정봉주 전 의원 이날 예비경선에는 중앙위원 50%, 권리당원 50%의 투표가 반영됐다. 8월18일 전당대회 본선에서는 최종 5명이 선출된다. 본 경선은 당대표 선거와 동일하게 대의원 14%, 권리당원 56%, 국민 30% 투표가 반영된다. 2024.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