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57 여권 재발급 신청, 국민은행 앱에서도 된다 이제까지 지자체 여권민원실을 직접 방문하거나 온라인 정부24를 통해서만 신청할 수 있었던 여권 재발급 신청이 국민은행 모바일앱(KB스타뱅킹)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외교부는 국정과제인 「디지털서비스 개방」의 일환으로 6월 17일부터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를 행정안전부의 디지털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자여권을 한 번이라도 발급받은 적이 있는 18세 이상 우리 국민은 이제 국민은행 앱을 통해서도 여권 재발급을 신청하고 원하는 시․군․구청 여권민원실에서 여권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국민은행 앱의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는 국민은행 계좌가 없어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권발급 수수료 외에 추가적인 부가수수료는 붙지 않는다. 2024. 6. 18. 부가가치세 제도, 7월부터 대폭 바뀐다 - 간이과세 적용 기준금액 1억4백만 원으로 상향되어 영세사업자 세부담 경감- 직전연도 공급가액 8천만 원 이상 개인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해야 국세청은 영세 소상공인의 세부담을 경감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오는 7월부터 간이과세 적용범위 확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의무 및 매입자납부특례대상 품목 확대 등 부가가치세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를 개선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1. 간이과세 적용 대상 확대 ’24.7.1.부터 간이과세 적용 기준금액이 종전 8천만 원 미만에서 1억4백만 원 미만으로 상향된다. 부동산임대업 및 과세유흥장소는 종전과 동일하게 4,800만 원 미만 시 간이과세한다. 피부미용업(피부관리) 및 기타미용업(네일아트)은 면적과 관계없이 간이과세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올해 7월1일 기.. 2024. 6. 18. 언론재단, 내년 기자 해외연수 160여명으로 대폭 늘린다 미디어오늘은 1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이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관련 사업 확대 추진 계획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언론재단은 해외 연수프로그램별 선발 인원을 ‘해외 장기연수’(1년)의 경우 올해 10명에서 내년 20명, ‘KPF디플로마’(국내외 1~2개월)는 26명에서 36명, ‘국제 언론교류’(1주 내외)는 26명에서 35명으로 늘린다. 이에 더해 10명 규모의 ’해외 중기연수’(1~6개월), 60명 규모의 ‘해외 단기연수’(1~2주) 등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올해 기준 62명인 해외 연수 인원을 내년 161명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대통령은 "우리 언론도 좀 더 글로벌 취재, 국제뉴스를 더 심층적으로 다룰 수 있게 저희도 정부 차원에서 기자 여러분의 연수, 취재 이런 기회를 좀 더 많이 만들 .. 2024. 6. 18. 이재명 '애완견' 논란에 소환된 8년 전 손석희 브리핑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최근 언론을 향한 '애완견' 발언에 대해 해명하는 글을 올렸습니다.“일부 언론의 문제임을 좀 더 선명하게 표현하지 못해 언론 전체 비판으로 오해하게 했다면 이는 저의 부족함 탓이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그러나 일부 언론의 명백하고 심각하며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애완견 행태 비판을 전체 언론에 대한 근거없고 부당한 비판인양 변질시키는 것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칠 전 법정에 출석하며 했던 저의 발언은 일부 언론의 실재하는 애완견, 경비견 행태를 지적한 것”“랩독이나 애완견은 손석희나 보수언론은 말할 수 있어도 이재명은 안 된다거나, 영어로 하는 랩독 표현은 돼도 한글로 하는 애완견 표현은 안 된다는 것은 설마 아닐 것”“언론단체의 성명도 애완견 행태를 보이는 잘못된 언론을 비호하려.. 2024. 6. 18. 도보다리 회담 연상케 하는 푸틴-김정은 산책회담 크렘린궁이 밝힌 푸틴 방북 일정18일 러시아 극동 사하(야쿠티야) 공화국 야쿠츠크 방문 뒤 북한으로 이동, 평양까지 약 3시간 비행18일 공식 환영식, 양측 대표단 소개, 의장대 사열, 사진 촬영 뒤 회담18일 회담은 확대 형식 회담과 비공식 회담, 공동문서 서명 뒤 발표푸틴-김정은 산책과 다과를 겸한 일대일 비공식 회담에서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문제' 논의 예정푸틴 19일 베트남 향해 북한 출국, 전체 북한 체류 시간 24시간 미만 왜 갑자기 2018년 4월 도보다리 회담이 떠오르는지 ㅠ 2024. 6. 18. 국회 조사, 5년만에 한국 미래 더 어두워졌다 국회미래연구원이 30년 후 분야별 미래 전망을 주제로 최근 3,000명을 온라인 설문조사 한 결과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전망치는 11개 전 분야에서 5년 전보다 낮아졌다고 합니다.2019년 조사에 비하여 3.4%p(사람, 30.9%→27.5%)에서 최대 45.6%p(북한, 75.1%→ 29.5%)까지 낮아졌읍니다. “북한”에 대한 30년 후 미래 전망치가 크게 낮아진 것은 2018년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 개최 등이 2019년 조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최근 경색된 남북 관계 상황이 미래 전망에 좋지 않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분석했습니다. 또한, “국제정치”와 “정치・행정” 분야에서 타 분야에 비하여 긍정적 전망이 더 크게 감소하였습니다.이번 조사 결과, “식량・수자원”, “기후” 등.. 2024. 6. 18. 이전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227 다음 반응형